본문바로가기
  • 로그인
21세기 무한경쟁시대의 비전

언론보도

홈 > 정보마당 > 언론보도
제목
한-미 FTA 발효 1년, 울산이 최대 수혜지역으로 부상
작성자 통합관리자 작성일 2013-03-19
첨부
조회 19969
[13. 3. 15 보도]

-FTA 발효 1, 울산이 최대 수혜지역으로 부상

- 수혜품목 중심 수출 큰 폭으로 증가, 글로벌 경기침체 속 FTA 효과 톡톡 -

 

-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1주년(315)을 맞아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본부장 심준석)가 울산지역의 對美 수출입 동향을 분석한 결과 석유제품, 자동차부품, 철강제품, 인조섬유 등 FTA 수혜 품목군을 중심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지역 수출이 부진했던 가운데 대미 수출과 무역수지 흑자가 증가하여 한-FTA가 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FTA가 발효된 지난해 3월부터 올해 1월까지(20123~ 20131) 11개월 동안 울산지역의 대미 수출은 927천만 달러, 수입은 234천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20113~ 20121)과 비교해 수출 19.8%, 수입은 23.6%가 증가했으며, 무역수지는 693천만 달러 흑자로 전년 동기(585천만 달러) 대비 흑자 규모가 18.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대미 수출이 5379천만 달러로 2.7% 증가한 것과(수입은 3907천만 달러로 7.4% 감소) 비교하면 자동차 및 석유화학 산업 등 수혜업종이 밀집되어 있는 울산이 예상대로 한-FTA의 최대 수혜 지역(수출 증가액 기준)임을 입증한 셈이다.

 

주요 품목별 수출을 살펴보면, 울산지역의 대미 최대 수출품목인 자동차 산업의 경우 완성차는 미국 측 수입관세가 FTA 발효 후 4년간 유지 후 5년째 완전 철폐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관세인하 효과는 없었지만 FTA 발효에 따른 간접효과 등으로 작년 3월부터 올 1월까지의 수출이 478천만 달러로 18.9% 증가했으며, 주로 중소기업이 많은 자동차부품도 수출이 20.2% 증가한 47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석유제품의 경우에도 제트유 및 등유(94.4%), 경유(137.3%)를 중심으로 수출이 급증하면서 같은 기간 수출이 20억 달러로 2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동일 품목군에 대해 대미 수출 금액을 제외한 세계 수출을 분석해보면 자동차의 수출은 3.2% 감소했고, 석유제품은 2.6% 자동차 부품의 경우 12.1% 증가에 그쳐 대미 수출의 증가가 두드려졌다. 이외에도 미국 측 수입관세가 즉시 철폐된 철강제품(15.4%), 섬유원료(30.8%), 섬유사(36.7%) 등도 수출이 증가했다.

 

주요 지역별 수출과 비교해보면, 작년 3월부터 올 1월까지 지역 5대 수출국 중 최대 수출국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16.4% 감소했으며, 일본 9.4%, 인도네시아 15.2%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주요 시장으로의 수출이 부진했던 가운데 미국과 싱가포르(7.4%)로의 수출만 증가했으며, 2010(22.7%) ~ 11(15.5%) 2년 연속 두 자리 수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했던 미국의 전체 수입액도 지난해 2275백억 달러로 2011년과 비교해 단 3.1% 증가에 그친 것을 감안하면 20%에 달하는(19.9%) 울산지역의 대미 수출 증가율은 한-FTA의 가시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수입의 경우도 전반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작년 3월부터 1월까지 울산지역 수입이 전년 같은기간 대비 소폭 감소(-0.5%)한 가운데서도 금속광물(20.1%) 및 비철금속제품(56.9%), 정밀화학(20.1%), 석유화학(43.2%) 원자재와 기초산업기계(85.5%), 산업기계(63.2%) 기계류를 중심으로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크게(23.6%) 증가해 관세인하 효과로 가격경쟁력이 상승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 심준석 본부장은 발효 1년이 막 지난 시점에서 한-FTA의 장기적인 효과를 논하기에는 이른 감이 있지만 대미 수출입 동향을 분석한 결과 글로벌 경기침체 상황 속에서도 충분히 그 효과가 입증된 것으로 판단된다.”그러나 발효 1년이 경과하면서 미국 측의 본격적인 원산지 사후검증이 예상되는 만큼 그에 대한 충분한 대비가 필요하다. 미국이 EU와 일본 등 경쟁국과의 자유무역협정에 주도적으로 나선만큼 한-FTA 선점 효과 지속과 FTA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붙임 : 미 교역 현황 및 주요 수출입 품목. .

 

 

<붙임>

 

< 울산지역 對美 수출입 현황 >

 

(단위 : 백만달러, %)

 

년도

수출

수입

무역수지

금 액

증가율

금 액

증가율

금 액

증감

2001

3,571

2.5

844

-24.6

2,727

362

2002

4,819

35.0

1,169

38.5

3,650

923

2003

4,683

-2.8

1,348

15.4

3,335

-315

2004

5,590

19.4

1,849

37.2

3,741

406

2005

6,478

15.9

1,710

-7.5

4,768

1,027

2006

6,573

1.5

1,456

-14.8

5,117

349

2007

7,351

11.8

2,037

39.9

5,314

197

2008

6,239

-15.1

1,515

-25.6

4,724

-590

2009

5,173

-17.1

1,160

-23.4

4,013

-711

2010

7,153

38.3

1,827

57.5

5,326

1,313

2011

8,140

13.8

2,022

10.6

6,118

792

2012

9,845

20.9

2,441

20.7

7,404

1,286

2013

884

38.0

291

56.2

593

 

 

 

 

< -FTA 발효 전후 울산의 對美 기간별 수출입 현황>

 

 

(단위 : 백만불, %)

기간

수출(증가율)

수입

무역수지

20113~ 20121

7,738(12.9)

1,890( 8.4)

5,848

20123~ 20131

9,269(19.8)

2,336(23.6)

6,933

 

자료 ; 한국무역협회

 

 

 

 

< 울산지역 주요 수출대상국 수출 현황 비교 >

 

 

(단위 : 백만달러, %)

 

순위

국가

20113~ 20121

20123~ 20131

수출액

증가율

수출액

증가율

1

중 국

17,015

40.7

14,225

-16.4

2

미 국

7,738

12.9

9,269

19.8

3

일 본

8,756

108.6

7,935

-9.4

4

싱가포르

5,713

95.1

6,137

7.4

5

인도네시아

6,307

80.6

5,351

-15.2

 

 

< 울산 對美 주요 수출 품목 >

 

(단위 : 천불)

순위

MTI 3단위

품목명

20113~

20121

20123~

20131

증가율

1

741

자동차

4,020,821

4,780,114

18.9

2

133

석유제품

1,639,726

2,018,526

23.1

3

742

자동차부품

391,572

470,506

20.2

4

211

기초유분

302,342

393,828

30.3

5

614

철강관및철강선

310,579

336,505

8.3

6

725

건설광산기계

157,435

194,178

23.3

7

842

정전(static electric)기기

164,820

149,462

-9.3

8

613

철강판

84,568

121,685

43.9

9

252

종이제품

69,082

93,411

35.2

10

228

정밀화학원료

74,150

88,036

18.7

 

자료 ; 한국무역협회

 

< 울산 對美 주요 수입 품목 >

 

(단위 : 천불)

순위

MTI 3단위

품목명

20113~

20121

20123~

20131

증가율

1

229

기타정밀화학제품

192,680

245,736

27.5

2

711

원동기및펌프

116,724

215,645

84.7

3

119

기타금속광물

197,095

211,779

7.5

4

622

동제품

98,645

152,276

54.4

5

113

동광

67,155

146,550

118.2

6

228

정밀화학원료

100,347

101,312

1.0

7

310

플라스틱 제품

72,713

95,559

31.4

8

116

아연광

107,634

92,212

-14.3

9

219

기타석유화학제품

64,379

87,500

35.9

10

212

석유화학중간원료

69,754

86,082

23.4

 

자료 ; 한국무역협회

 

 

 

 

< -FTA 발효 전후 지역별 對美 수출입 현황>

 

순번

지역

20113~ 20121

20123~ 20131

증가율

1

경기

10,384

9,733

-6.3

2

울산

7,738

9,269

19.8

3

서울

6,428

6,505

1.2

4

경남

4,843

6,359

31.3

5

경북

7,340

5,300

-27.8

6

충남

3,678

3,819

3.8

7

광주

3,231

3,531

9.3

8

인천

2,269

2,418

6.6

9

전남

1,912

2,204

15.3

10

부산

1,063

1,124

5.7

11

충북

1,101

958

-13.0

12

대구

835

889

6.5

13

전북

603

758

25.7

14

강원

332

333

0.3

15

대전

618

568

-8.1

16

제주

11

12

9.1

전 국

52,376

53,785

2.7

(단위 : 백만불, %)
자료 ; 한국무역협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