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 로그인
21세기 무한경쟁시대의 비전

언론보도

홈 > 정보마당 > 언론보도
제목
[사설] 사드배치 중국반발, 울산 주력기업 코 앞에 닥친 위기
작성자 통합관리자 작성일 2016-09-08
첨부
조회 2252
 <2016.07.11 울산매일 보도>
[사설] 사드배치 중국반발,
울산 주력기업 코 앞에 닥친 위기


한미 양국이 한반도 사드배치를 공식화하자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이 예상을 뛰어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이미 군사적 대응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상태다. 러시아 상원 국방위원회는 사정거리가 한국 내 미군 사드기지까지 이르는 미사일 부대를 극동지역에 배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은 현재까지 군사적 대응은 언급하지 않고 있지만 경제적 보복에 나설 가능성은 한층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수출의 25% 이상을 중국에 하고 있을 정도로 대중의존도가 높다. 울산은 자동차와 석유화학 등에서 중국을 빼고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집중되어 있다. 현대·기아차는 중국 베이징공장을 비롯해 3개의 현지공장이 진출해 있고 2018년 서부 충칭시에 제5공장이 완공되면 5개 공장으로 늘어난다.

여기에 동반 진출한 협력업체도 수백 개에 이르고 있다. 121개 1차 협력사와 417개 부품업체들이 진출해 있다. 국내 부품업체들이 중국 현지공장에 납품하는 물량도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그런가 하면 울산석유화학공단에서 생산하는 화학제품 중간재의 중국수출은 기업의 명운을 결정할 만큼 절대적이다. 현대·기아차는 특히 2018년이면 중국에서만 생산되는 자동차 물량이 260만대를 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 의존도가 심화되면서 중국의 일거수일투족에 촉각을 곤두세우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사드 문제가 중국과의 외교마찰로 비화되면서 울산지역 기업들은 하루하루가 바늘방석이다. 경제보복으로 현실화 될 경우 중국진출 기업은 물론이고, 국내기업들의 수출에도 비상등이 켜지게 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외교적 문제를 경제제재로 곧장 연결해 왔다.

지난 2012년 중국은 일본에 희소자원인 희토류 수출을 전면 중단했다. 일본명 센카쿠, 중국명 다오위다오 섬의 분쟁에 대한 보복 조치였다. 한국 정부도 이런 악몽을 겪은 바 있다. 2000년 농가를 보호하려고 마늘 관세율을 30%에서 315%로 올렸다가 무역규모가 훨씬 큰 폴리에틸렌과 휴대전화 수출이 막히게 됐다.

지난해부터 발효된 한중FTA로 중국이 당장 직접적인 규제를 하지는 않겠지만, 간접적인 보복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통관을 늦추거나 인허가, 인증 과정에서 한국기업에 불이익을 주는 것만으로 수출에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그렇지 않아도 중국 정부가 환경규제를 강화하는 통에 중국진출 기업에게는 애로사항이 한둘이 아니다. 현대차 북경1공장은 내년이면 공장부지 임대계약이 만료된다. 사드 배치가 또 다른 악재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 사드가 지역에 배치되지 않는다고 해서 결코 ‘강 건너 불구경’을 하듯이 볼 일이 아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