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한·미 FTA 발효 7년차('18년) 교역 동향
|
|||||||||||||||||||||||||||||||||||||||||||||||||||||||||||||||||||||||||||||||||||||||||||||||||||||||||||||||||||||||||||||||||||||||||||||||||||||||
---|---|---|---|---|---|---|---|---|---|---|---|---|---|---|---|---|---|---|---|---|---|---|---|---|---|---|---|---|---|---|---|---|---|---|---|---|---|---|---|---|---|---|---|---|---|---|---|---|---|---|---|---|---|---|---|---|---|---|---|---|---|---|---|---|---|---|---|---|---|---|---|---|---|---|---|---|---|---|---|---|---|---|---|---|---|---|---|---|---|---|---|---|---|---|---|---|---|---|---|---|---|---|---|---|---|---|---|---|---|---|---|---|---|---|---|---|---|---|---|---|---|---|---|---|---|---|---|---|---|---|---|---|---|---|---|---|---|---|---|---|---|---|---|---|---|---|---|---|---|---|---|---|
작성자 | 통합관리자 | 작성일 | 2019-03-18 | |||||||||||||||||||||||||||||||||||||||||||||||||||||||||||||||||||||||||||||||||||||||||||||||||||||||||||||||||||||||||||||||||||||||||||||||||||||
첨부 | 조회 | 11355 | ||||||||||||||||||||||||||||||||||||||||||||||||||||||||||||||||||||||||||||||||||||||||||||||||||||||||||||||||||||||||||||||||||||||||||||||||||||||
한·미 FTA 발효 7년차('18년) 교역 동향 - 교역 전년대비 10.3% 증가, 투자유치 최대치 기록 - 미국은 한국 수입시장 점유율 순위 상승(3위→2위) > 한·미 FTA는 양국의 지속적 win-win 관계 구축에 기여
1. 상품 교역 동향 □ (교역) 발효('12.3.15) 7년차인 ‘18년 양국간 교역은 1,316억불로 전년대비 10.3% 증가하여, 美·中 무역갈등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최대치 기록 * '18년 한·미 교역액은 한국 총교역의 11.5%로 미국은 한국의 제2위 교역 대상국(1위: 중국(2,686억불, 23.6%)) ㅇ FTA 발효 후 對美 교역 증감률은 ‘17년을 제외하고는 對세계 교역 증감률을 지속 상회하였으며, ‘18년에도 對세계(8.4%) 대비 높음 < FTA 발효 후 對美 교역 동향 (단위: 억불, % / 한국무역협회) >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ㅇ (수출) ‘18년 對美 수출은 727억불로 전년대비 6.0% 증가하였으며, 對세계 수출 증가율(5.4%)보다 다소 높음 - 반도체(90.6%)*, 석유제품(15.7%)**, 건설기계(32.4%)*** 등이 수출 증가를 견인 * 반도체: IT기기의 메모리 고용량화, 데이터센터 서버 투자확대 등 메모리 수요 증가에 기인 ** 석유제품: 국제유가 상승(Dubai유, '17년 53.2 → '18년 69.7 $/B)에 따른 석유제품의 수출단가 상승 등에 기인 *** 건설기계: 미국의 건설·설비 투자에 대한 수요 지속 및 투자 확대, 주택시장 호조로 건설광산기계의 對美 수출 증가 - 다만, 자동차(△6.9%)*, 무선통신기기(△6.2%)**, 고무제품(△2.2%) 등은 전년대비 감소 * 자동차: 미국 자동차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등으로 감소 ** 무선통신기기: 해외생산 비중 확대 및 글로벌 경쟁심화 등의 요인으로 감소
< FTA 발효 후 對美 수출 동향 (단위: 억불, % / 한국무역협회) >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 FTA 발효 3년차 이후 우리나라의 미국시장 점유율은 3% 수준 유지 * 미국시장 점유율(%): ('12) 2.6 ('13) 2.7 ('14) 3.0 ('15) 3.2 ('16) 3.2 ('17) 3.0 ('18) 2.9 ㅇ (수입) ‘18년 對美 수입은 589억불로 전년대비 16.2% 증가 < FTA 발효 후 對美 수입 동향 (단위: 억불, % / 한국무역협회) >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 국제 에너지 시세상승으로 인한 에너지 수입선 다변화로 원유(520.1%)*, LPG(50.3%)**, 천연가스(179.2%)*** 등을 중심으로 수입 증가 * 원유: 미국산 원유 수입량 354% 증가('17년 1,343만B → '18년 6,094만B) 및 유가 상승에 따른 원유 수입단가 상승 등의 요인으로 對美 수입액 급 ** LPG: 미국 셰일가스 생산 증가에 따른 거래물량 증가로 미국산 LPG 수입량 증가 *** 천연가스: '17.下부터 LNG 장기계약 물량이 도입됨에 따라 미국산 LNG 수입량 증가 - ‘18년 미국의 한국시장 점유율(11.0%)은 FTA 발효 후 지속 상승, 그간 2위인 일본을 앞서 수입시장 점유율 순위 상승(3→2위) * 주요국의 한국 수입시장 점유율(%): ('17년) ①중국(20.5) ②일본(11.5) ③미국(10.6) ('18년) ①중국(19.9) ②미국(11.0) ③일본(10.2) < 한국과 미국의 상대국 시장점유율 추이 (단위: %) >
ㅇ (무역수지) FTA 발효 후 4년 동안 무역수지 흑자는 증가하였으나, ‘16년 이후 감소세로 전환하여 전년대비 41억불 감소 * 對美 무역수지(억불): ('12) 152 ('13) 206 ('14) 250 ('15) 258 ('16) 233 ('17) 179 ('18) 138
< 對美 무역수지 동향 (단위: 억불, %, 한국무역협회) >
* 출처: US BEA(Bureau of Economic Analysis), 한국무역협회
- ’18년 무역수지 흑자의 감소는 수출입 모두 증가한 가운데, 특히 원유, LPG 등의 수입이 증가*한데 기인 * '18년 對美 수입 증가 주요 품목(억불, 전년대비 증감률): (원유) 44.9(520.1%), (LPG) 28.6(50.3%), (천연가스) 22.5(179.2%)
붙임 : 첨부사항 표시 (0313 (15일조간) 국내대책과, 한미 FTA 발효 7년차 교역 동향 1부. 끝.)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국내대책과 (김민희 044-203-4147) ※ 자세한 사항은 상단 붙임 파일 참조
|